앵커 두부처리 공법

본문 바로가기

신기술/신공법

앵커 두부처리 공법

공법개요

- 그라운드 앵커가 도입된 지 40여년이 지났으나, 아직 국내 실정에 맞는 수압판의 설계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최적의 앵커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앵커공법이 적용된 현장에서 시공 초기 또는 앵커의 사용연수가 다 되지 않았는데도 수압판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매입형 수압판은 기존수압판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한 획기적인 방법이다.
-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앵커 두부를 지표면에 설치하지 않고, 표면근입이 가능한 확공 Bit를 이용하여 원형의 Bearing Plate와 탄성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인장작업시
  편심과 집중하중에 의한 앵커력의 손실을 방지하고 주변경관과 어우러져 외관이 수려한 친환경적 공법이다.

공법개요 개요도
표면처리 작업
표면처리작업
확공후 설치된 앵커와 두부
표면처리작업
수압판의 종류

- 수압판은 앵커 두부의 인장력을 지반에 분산하여 전달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큰 앵커력이 집중하중으로 작용 시에도 충분히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지 등을      감안하여 구조 및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
- 매입형 수압판의 종류로서는 철근 콘크리트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재, 철재, 알루미늄 합금재 및 플라스틱 등의 신소재 제품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고, 산사태 지역,   깎기 비탈면, 기 설치된 석축이나 옹벽 등의 안정에 사용되는 영구앵커의 인장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전면판

  • 격자블럭과 수압판

  • 숏크리트와 수압판

  • 독일수압판

  • 수압판의 뒷채움 처리

  • 인중장 펀칭 및 수압판 파괴

수압판의 성능

텐돈의 반력을 가능한 균등하게 분산하여 지반에 전달하는 구조로써, 그 성능과 안전성이 보장되고 장기적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역학적, 합리적인 설계가 되어 야 한다.

수압판은 재료에 따라 설계 방법이 달라진다. 콘크리트재 수압판은 큰 균열 등을 발생 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철재ㆍ알루미늄 합금재수압판은 소성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 앵커력에 대한 수압구조물의 단면기능이 충분하여야 한다.

수압판의 내력 등의 설계방법은 허용응력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라 역학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가혹한 야외환경에 있어도 장기간의 내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 다.

앵커의 설치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앵커축선과 수압판이 수직이 아닌 경우에는 수압판 자체를 기울임으로써 각도를 조정하던지, 앵커의 부착부에 앵커축선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수압판을 사용해야한다.

기존 수압판의 문제점 - 지표면과 수압판 사이에 뒤채움 실시 → 지표면에 굴곡발생시 밀실한 뒤채움 및 균질한 두께유지가 불가하므로 인장작업시 균열 및 파손 현상 발생
- 수압판과 앵커체의 설치각도 유지가 어려움
- 편심 및 집중하중에 의한 수압판의 균열발생 → 앵커력의 손실에 따른 파괴 발생
- 외관이 위압적이고 주변경관과 조화되지 않음
- 인력작업에 의한 과다한 공정과 시간 소요
- 시공 신뢰도가 미흡

  • 시공성 저하

    요철이 심한 지표에 수압판 설치 어려움

  • 안정성 미확보

    편심으로 인한 집중하중 및 뒤채움 작업 실시

  • 환경성 침해

    주변경관과 부조화

  • 유지관리의 어려움

    표면식생이 어려워 친환경 설계 어려움, 보호캡 노출로 인한 빈번한 파손 발생


상단으로